[답: 2]
유형자산의 내용년수 또는 잔존가치의 변경은 회계추정의 변경 예이다. 회계정책변경의 예가 아니다.
회계정책변경 (소급법, 신뢰성 하락/비교가능성 상승) |
회계추정변경 (전진법, 신뢰성 상승/비교가능성 하락) |
|
정의 | 재무제표의 작성과 보고에 적용하던 '회계처리방법'을 다른 회계처리방법으로 바꾸는 것 | 지금까지 사용해오던 '회계적 추정치'를 바꾸는 것 |
사례 | [재고자산평가방법의 변경] 선입선출법->후입선출법 |
누적진행률 변경 |
원가모형->재평가모형 | [내용년수 또는 잔존가치의 변경] | |
X | [감가상각방법의 변경] 정액법->정률법 |
|
표시 통화의 변경 | 기능 통화의 변경 |
'금융·경제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분석사 필수 2-2] 취득 인수 시 A회사의 자산 총액 (0) | 2021.05.04 |
---|---|
[신용분석사 필수 2-1] 연결이론! 지배기업개념과 실제개념 (0) | 2021.05.03 |
[신용분석사 필수 기출 16] 대손상각비의 정의와 계산! (2) | 2021.04.19 |
[신용분석사 필수 기출 15] 수익 인식의 기준, 계산 (0) | 2021.04.15 |
[신용분석사 필수 기출 14] 수익인식의 회계처리 (2) | 2021.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