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트 투자 알고리즘 2
Python 과 VS code, 증권회사의 API를 활용하여 실제 증권시장과 연동했고, 사용하고자 하는 매매 전략에 맞게 코드를 구현하였다.
현재 10만원으로 일주일의 수익을 확인할 것이다. 종목은 거래량 순위에 따라 엄선해서 골라보았다.
변동성 돌파 전략이란?
1. 이전 날의 일봉 기준 범위 range(전일 고가 - 전일 저가)를 계산합니다.
2. 당일 장중 가격이 <당일 시가 + (전일 range * K)>를 넘을 경우 매수합니다. (K = 노이즈비율)
3. 다음날 시가 기준으로 지정가 매도를 합니다.
이 세가지 방법을 거쳐 변동성 돌파 전략이 수행됩니다. 일일 단위로 일정 수준 이상의 범위를 넘는 강한 상승세를 돌파 신호로 매매합니다. 단기매매 전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9만원까지 올랐다가 7만원까지 내렸고 - 8만원에서 장이 끝났을 때, 만약 K = 0.5라면 변동성 돌파 전략을 활용할 경우 8만원 + (2만원 * 0.5) = 9만원에서 풀매수를 합니다. 그리고 결과에 상관 없이 다음날 시가 기준으로 지정가 매도를 합니다. 상승장일 때 좋은 전략이지요.
매매의 방법 또한 알고리즘으로 구현할 수 있다. 주문 비율 또한 정하여 최대한 많은 종목을 포함해 투자할 수도 있다. 다만 그 종목들이 전략의 검사를 통과하고 거래량이 많아야 매매가 활발하다.
필자는 슬랙봇을 활용하여 매매가 이루어지거나 일괄 매도가 이루어질 때 휴대전화에 알림이 오게 해놓았다. 계속 요상하게 사는 것 같지만, 무언가 알고리즘의 뜻이 있을 것이라 믿고 계속 진행 후 수익률을 확인할 것이다.
'금융·경제 > [투자]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 퀀트 투자 알고리즘 개발 - 4 (0) | 2021.07.30 |
---|---|
[투자] 퀀트 투자 알고리즘 개발 - 3 (0) | 2021.07.29 |
[투자] 퀀트 투자 알고리즘 개발 - 1 (0) | 2021.07.09 |
[미국 급등주 니콜라] 주가 폭등 분석 by 미국회계공시 + 핫뉴스 feat 바이든 (0) | 2021.06.03 |
미국 5G 주식 [ 버라이즌 vs AT&T ] 재무상태분석 by 미국회계공시 (0) | 2021.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