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4번] - C만 보수주의 회계처리 효과가 나타난다.
A: 제거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거래를 매출채권에서 제거하였다. 이는 일반기업회계기준에 위배된다.
B: 재고자산을 선입선출법(먼저 있던 재고를 먼저 판매)으로 평가하였는데, 후입선출법(나중에 들어온 재고를 먼저 판매)으로 평가하여야 보수주의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C: 감가상각을 정액법(일정한 비용을 차감) 대신 정률법(일정한 비율로 차감)으로 하면 보수주의 회계처리 효과가 나타난다.
예시)
- 50000원 텀블러 감가상각 5년 정액법 시 5000원 씩 감가
- 50000원 텀블러 감가상각 5년 정률법 시 45.1% 씩 감가 -> 22550원 감가
D: 연구비와 경상개발비는 항상 비용 처리이다. 따라서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보수주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추가 설명:
보수주의(conservatism)란 회계상 손익계산에 대한 원칙의 하나로서 안정성의 원칙으로도 불린다. 과세와 배당 등의 기업의 자금이 사외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로서, 재무적 건전성을 위한 방법이다. 보수주의는,
- 회계장부에 비용은 빠짐없이 기록하고, 그에 반해서 수익은 확정된 사항만 기록한다.
- 기업에 이익을 줄어들게 기재하여 세금 부담을 줄이고 배당금 지불액을 줄이면서 현금유출을 막는다.
- 이익 조작 등으로 회계처리의 일관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마디로 보수주의란, 비용은 철저히 기록하고 수익은 냉정히 평가하여 기업의 자금을 보호하는 원칙(절세, 배당금 지불액 관리)으로 생각하면 된다. 적게 버는 척하여 불쌍한 척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금융·경제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분석사 필수 기출 6] 평가손실과 감모손실 (0) | 2021.03.24 |
---|---|
[신용분석사 필수 기출 5]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0) | 2021.03.23 |
[신용분석사 필수 기출 4] 재고자산평가방법 (0) | 2021.03.22 |
[신용분석사 필수 기출 3] 중간재무제표란? (0) | 2021.03.20 |
[신용분석사 필수 기출 2] 현금성자산과 예금분류 (0) | 2021.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