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에 빈출 되는 CISC와 RISC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CISC가 기존의 프로세서라면, RISC는 CISC의 한계성을 극복하고자 제안된 새로운 프로세서의 구조입니다. 이때 '명령어'가 CISC와 RISC 차이의 중심입니다.
- CISC는 복잡한 명령어를 탑재하였기에 명령어의 길이가 가변적입니다.
- RISC는 처리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고정된 길이의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복잡한 식은 보유 명령어를 조합합니다.
CISC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
RISC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
|
개념 | 복잡한 명령어 셋을 가지는 CPU구조로, 다양한 주소 모드와 명령어를 가진다. 유연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
CISC보다 CPU의 명령어 개수를 줄여 하드웨어 구조를 좀 더 간단하게 만드는 방식이다. CISC에 비해 월등히 높은 처리속도를 가진다. |
설계 목적 | 1개의 명령어로 최대의 동작 | 명령어 당 실행시간 최소화 |
명령어 | 가변 길이의 명령어로 복잡함 | 고정된 길이의 명령어로 간단함 |
레지스터 수 | 적음(8~16개) | 많음(16~192개) |
처리 속도 | 느림 | 빠름 |
전력 소모 | 많음 | 적음 |
가격 | 높음 | 낮음 |
용도 | 개인용 PC | 서버, 워크스테이션 |
프로그래밍 | 단순 | 복잡 |
복잡도 | 하드웨어가 복잡 | 컴파일러가 복잡 |
주소지정방식 | 5~20가지의 다양한 방식 | 3~5가지 |
CPU 제어 방식 |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방식 | 하드와이어드 제어방식 |
[시험공부에는 표가 최고]
예를 들면 CISC에서 "오늘 가게에 가서 빵 사고 집에 올 거야"의 프로그래밍은 RISC에서는 [이동-가게]+[구매-빵]+[이동-집]으로 단순화할 수 있지만, 프로그래밍하기가 조금 어렵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더하여 전반적으로 (처리 속도/ 전력 소모/ 가격)에서 RISC가 우수하다고 기억하면 좋습니다.
'자격증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실기] 필수! 그레이코드와 2진코드 (0) | 2021.04.01 |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실기] 필수 주관식 정리 - 1 (0) | 2021.03.31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실기] 필수! 교착상태(Deadlock) (0) | 2021.03.30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카르노맵(카노맵) 정의와 계산 (2) | 2021.03.17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코딩 문제 기출 정리 - 1 (0) | 2021.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