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립플롭: 전원 공급 中 현 상태를 기억하는 위한 논리 회로이다.
플립플롭의 종류
태초에 모두 SR플립플롭에서 진화했다고 보면 된다.
[SR(혹은 RS) 플립플롭]: 0 또는 1을 기억하거나 현상태를 그대로 기억한다. S의 상태를 기억하고 있으며, S, R이 모두 1인 경우는 동작하지 않는다.
S | R | Q(t+1) |
0 | 0 | 유지 = Q(t) |
0 | 1 | 0 |
1 | 0 | 1 |
1 | 1 | 동작X |
[D 플립플롭] : 입력 값을 그대로 기억한다. D값과 출력 값이 동일하다.
D | Q(t+1) |
0 | 0 |
1 | 1 |
[JK 플립플롭] : 0 또는 1을 기억하거나 현상태를 그대로 기억하거나 그 보수를 기억 (RS 플립플롭과 동일하지만 J와 K에 모두 1이 들어왔을때 보수(반대값)을 출력) + (RS는 입력이 모두 1인 경우 불능이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듦. RS플립플롭과 T플립플롭 회로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J | K | Q(t+1) |
0 | 0 | 유지 = Q(t) |
0 | 1 | 0 |
1 | 0 | 1 |
1 | 1 | 보수(반전) = Q(t)' |
[T 플립플롭] : 현 상태 또는 그 보수를 기억한다. (JK 플립플롭 2개를 묶어서 구성)
T | Q(t+1) |
0 | 유지 = Q(t) |
1 | 보수(반전) = Q(t)' |
[마스터-슬레이브 플립플롭]: 출력 측의 일부가 입력 측에 피드백되는 레이스 현상을 없애기 위해 고안된 플립플롭이다. 2개의 플립플롭으로 구성되는 플립플롭 회로이다.
플립플롭의 변천 과정
이것만 알면 플립플롭에서는 문제 없다.
'자격증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0, 1, 2, 3 주소 명령어의 계산 (0) | 2021.04.23 |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로더(Loader)의 의미 (0) | 2021.04.18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1의 보수, 2의 보수의 계산 (2) | 2021.04.16 |
[Summary] ECK (0) | 2021.04.15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마이크로 연산 (0) | 2021.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