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3주소 명령어는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의 빈출 문제이다. 이것의 계산 순서와 명령어의 종류를 알아야 문제가 없을 것이다. 간단한 계산식(기출)을 통해 그 재미를 알아가 보자.
N개의 명령어 주소 형식별 계산식
*** Z = (A+B)*C 의 계산 ***
0주소 명령어 | 1주소 명령어 | 2주소 명령어 | 3주소 명령어 | |
계산 순서 |
PUSH A PUSH B ADD PUSH C MUL POP |
LOAD A ADD B MUL C STORE Z |
MOVE R1, A ADD R1, B MUL R1, C MOVE Z, R1 |
ADD R1, A, B MUL Z, R1, C |
명령어 개수 |
6개 | 4개 | 4개 | 2개 |
0주소 명령어는 후위계산식으로 바꿔준 후 생각하면 편하고,
(A+B)*C -> AB+C*
계산 끝나고 POP해주면 마지막 결과 값이 출력된다.
1-LOAD, 2-MOVE를 생각하고,
3주소 명령어가 이해가 안 갈 수 있는데,
ADD R1, A, B는 R1에 A+B를 저장
MUL Z, R1, C는 Z에 R1*C를 저장한다는 뜻이다.
컴퓨터처럼 생각하면 그리 어렵지는 않다!
'자격증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3일 합격 수기 & (2021년도 1회 기출) (4) | 2021.04.26 |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로더(Loader)의 의미 (0) | 2021.04.18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플립플롭의 종류와 회로도 (0) | 2021.04.17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1의 보수, 2의 보수의 계산 (2) | 2021.04.16 |
[Summary] ECK (0) | 2021.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