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경제/[투자]부동산

[부동산학개론 28-14] 지대이론이란?

FintechPark 2022. 7. 1. 18:00

[답: 1번] ㄷ, ㄹ은 주장한 사람 이름이 바뀌어야 한다. [튀넨(위치지대) <-> 마르크스(절대지대)]


 

지대: 땅을 사용한 대가 (임대료 등)

 

ㄱ. 차액지대설: 리카도

- 비옥도의 차이에 따른 생산력 차이 때문에 지대가 발생한다. (비옥한 토지량의 제한, 수확체감 법칙의 작용)

 

ㄴ. 준지대: 마샬

- 수요가 가격을 결정한다. 준지대(토지와 비슷한 성질을 가짐, 토지에 부착되는 건물, 기계, 시설물 등에서 받는 rent)는 생산을 위해 사람이 만든 기계, 기구로 얻는 소득이며, 고정생산요소에 대한 수요에 의해 결정된다.

 

ㄷ. 위치지대설: 튀넨

- 농지의 비옥도 보다는 위치, 시장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지대가 결정됨. 비옥도 동일해도 지대 차이 발생하는 것에서 착안, 교통비 발생 등.

 

ㄹ. 절대지대설: 마르크스

 - 지대는 토지소유자가 토지를 소유하고 있다는 독점적 지위(그 자체) 때문에 받는 수입, 최열등지(한계지)에서도 지대는 발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