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 1]
1. 세금 부과 시 탄력성이 큰쪽(가격변화 예민한 사람)이 상대적으로 조세부담을 적게 받는다.
수요-공급의 탄력성이 클수록 (가격변화에 민감할수록) 경제적 순손실은 커지고, 정부의 조세수입도 작아진다.
이유 : 조세부과 -> 가격상승 -> 거래량 감소(탄력적일 때 극대화) -> 조세수입(세금*거래량) 감소 -> 경제적 순손실 커짐
2. 공급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일수록 수요변화에 대한 가격변동폭이 작다
3. 용도변경 제한하면 공급곡선 비탄력적된다.
- 기존의 땅 다른 땅으로 못바꾸면 땅은 공급을 늘릴 수 가 없기에 비탄력적이 된다.
4. 그림 그려보면 된다.
5. 부동산수요량 = 특정 가격 수준에서 부동산을 구매하고자 하는 의사와 능력이 있는 수량 (가격변화와 관련)
5.1 부동산수요 = 구입에 필요한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이 뒷받침된 유효수요의 개념 (가격변화 이외의 결정요인)
'금융·경제 > [투자]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학개론 28-22] 주택도시기금 법령 - 주택계정의 용도 (0) | 2022.07.11 |
---|---|
[부동산학개론 28-21] 주택 공급 - 공급량 변화요인 (0) | 2022.07.10 |
[부동산학개론 28-19] 수요의 가격탄력성이란? (0) | 2022.07.08 |
[부동산학개론 28-18] 수요의 교차탄력성 계산법 (0) | 2022.07.07 |
[부동산학개론 28-17] 도시공간구조이론 (0)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