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30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플립플롭의 종류와 회로도

플립플롭: 전원 공급 中 현 상태를 기억하는 위한 논리 회로이다. 플립플롭의 종류 태초에 모두 SR플립플롭에서 진화했다고 보면 된다. [SR(혹은 RS) 플립플롭]: 0 또는 1을 기억하거나 현상태를 그대로 기억한다. S의 상태를 기억하고 있으며, S, R이 모두 1인 경우는 동작하지 않는다. S R Q(t+1) 0 0 유지 = Q(t) 0 1 0 1 0 1 1 1 동작X [D 플립플롭] : 입력 값을 그대로 기억한다. D값과 출력 값이 동일하다. D Q(t+1) 0 0 1 1 [JK 플립플롭] : 0 또는 1을 기억하거나 현상태를 그대로 기억하거나 그 보수를 기억 (RS 플립플롭과 동일하지만 J와 K에 모두 1이 들어왔을때 보수(반대값)을 출력) + (RS는 입력이 모두 1인 경우 불능이므로 이를 보완..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1의 보수, 2의 보수의 계산

보수란? 보수: 진보의 반대가 아니라 두 수의 합이 n진법의 밑수가 되게 하는 법입니다. 예시를 한번 볼까요 10진법에서 3의 10의 보수는 7 8진법에서 6의 8의 보수는 2 2진법에서 1의 2의 보수는 1 그러나 우리는 0과 1의 세상 속 컴퓨터기에, 2진법의 경우만 알면 됩니다. 컴퓨터가 보수의 개념을 쓰는 이유는 덧셈 밖에 못해서인데요, 우리가 10-3=7이라 생각하는 것을 컴퓨터는 10+(-3)=7로 생각합니다. 따라서 보수의 개념이 필요한 것이지요. (부호는 - ->1, + -> 0으로 표현 가능함) 2진법의 경우, 2의 보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1의 보수를 먼저 구해야 합니다. 1의 보수는 숫자를 뒤집어주면 되고(0->1, 1->0), 2의 보수는 그 1의 보수에 1을 더해주면 됩니다. 예시로..

[ADsP] 3일 합격수기 - 2021 비전공자인 당신도, 합격!

비전공자 ADsP 3일 만에 합격하기 요즘 모든 회사에서 가산점을 주는 빅데이터 관련 자격증, ADsP를 취득하였다. 총 15시간 정도 공부하여 합격한 자격증 치고는 생긴 게 멋있다. 비전공자가 어떻게 15시간 만에 땄을까? 그 이유는 2가지만 기억하면 된다. 1. '기출문제'만 풀기 2. 이 블로그의 ADsP 중요 개념글 정독 1. 기출문제만 풀기 ADsP의 경우, 원 개념은 매우 어렵다. 인공지능 신경망부터 SOP(자기 조직화 지도)까지 파고들면 끝이 없다. 나야 뭐 알파고 논문을 분석해봤으니 조금은 알지만.. 그러나 비전공자들에게는 이 모든 것을 이해하는 것은 사치다. 따라서 기출문제를 먼저 2세트 풀고, 시험에 나오는 개념을 대충 이해한 후, 그 주요 개념들만 이해하고 기출 3세트 정도를 더 풀면..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마이크로 연산

마이크로 연산 Major 상태 순서: [Fetch - Indirect - Execute - Interrupt] TMI(그냥 상식용으로 알자): [플립플롭 R, F상태에 따른 싸이클] Major 상태 플립플롭 상태 R 플립플롭 상태 F 1. 인출 사이클 (Fetch Cycle) 0 0 2. 간접 사이클 (Indirect Cycle) 0 1 3. 실행 사이클 (Excute Cycle) 1 0 4. 인터럽트 사이클 (Interrupt Cycle) 1 1 마이크로 연산 프로그램 카운터(PC) :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합니다.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MAR) : 읽기와 쓰기 연산을 수행할 주기억장치의 주소를 저장합니다.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MBR) : 주기억자치에서 읽어온 데이터나 주기억장치에 저장할..

[정보관리기술사 기출] 해쉬 알고리즘 feat. 전자서명

해쉬 알고리즘이란? 해쉬 알고리즘은 임의 길이의 정보를 입력받아 고정 길이의 암호문(해시값)을 출력하는 암호화 기술이다. 우리가 수학문제를 푼다고 생각해보자. f(x) = y = x^102 + x^23 + x^4 + x + 12 위 f(x)식에서, x에 값을 집어넣으면 y값을 계산하기 쉽지만, y가 무엇인지 안다고 해서 x를 구하기는 쉽지 않다. (아마 102개의 해가 있지 않을까?ㅋㅋ 모르면 문과) 해쉬 알고리즘은 이러한 개념을 활용한 암호화 기술이라 생각하면 된다. 해쉬 알고리즘은 아래 네가지 특성이 있다. 특성 설명 압축성 임의 길이의 문자열을 고정 길이의 문자열(해시값)으로 변환 역상저항성 f(x) = y인 x를 찾기 어려운 특성, 단방향 특성을 가짐 제2역상저항성 주어진 x에 대하여 f(x)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반감산기와 전감산기

이 글을 보기 전에 반가산기와 전가산기 글을 한번 보고 오는 것을 추천한다. 반감산기 [반감산기 진리표] 입력 출력 X Y B(borrow, 빌림 수) D(difference, 차이) 0 0 0 0 0 1 1 1 1 0 0 1 1 1 0 0 이번에는 말 그대로 빼는 것이다. X-Y를 생각할 때, 1-0은 차이가 1이고 빌림 수는 0이다. 0-1은 차이가 1이고 빌림 수도 1이다. 이것을 생각하면 진리표를 위와 같이 적을 수 있다. [반감산기 회로도] D = X⊕Y B = X'·Y 회로도는 반가산기에 작게 NOT게이트가 있다. X=0, Y =1일 때만 B=1이 되게 만든 구조라 생각하면 쉽다. 전감산기 [전감산기 진리표] CASE 입력 출력 1 X Y B0 B D 2 0 0 0 0 0 3 0 0 1 1 1..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반가산기와 전가산기

가산기란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 회로이며, 디지털 회로이다. 그냥 2진수의 덧셈을 위해 구현한 회로라고 생각하면 쉽다. 그런데 가산기는 반가산기와 전가산기로 나뉜다. 그 차이는, 반가산기는 전가산기의 '이전 단계'라고 생각하면 된다. 반가산기 Sum = A⊕B Carry = A·B 위 그림에서 A, B는 데이터 값이고 C는 Carry(자리 올림) S는 Sum(합)이다. A+B를 수행했을 때, 결과가 C와 S로 나온다. 예를 들어 보자. A=0, B=1 일때, 0+1이므로 합인 S는 1이고 자리 올림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C는 0이다. A=1, B=1 일때, 1+1=2가 되어 2진수에서 자리올림이 발생한다. 따라서 C는 1이고, S는 0이된다. A, B 가 모두 1일 때만 C가 1이되니 AND 게이트로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실기] 필수! 그레이코드와 2진코드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실기 빈출인 그레이코드에 대하여 알아보자. 10진수는 2진수(2진코드)와 그레이코드로 변환될 수 있다. 10진수 7 = 2진수 0111 = 그레이코드 = 0100 그레이코드 0100 = 2진수 0111= 10진수 7 10진수에서 그레이코드로 한 번에 바꿀 수는 없다. 중간에 2진수를 거쳐야 한다. 그 계산법을 알아보자. 2진코드(Binary Code) -> 그레이코드(Gray Code) INPUT: [2진코드] 자리번호 1 2 3 4 2진코드 0 1 1 0 2진코드 자리번호 1번은 그대로 그레이코드 1번에 적어준다 (0->0) 2진코드 자리번호 1번과 2번을 XOR한 값을 그레이코드 2번에 적어준다 (0 XOR 1 = 1) 2진코드 자리번호 2번과 3번을 XOR한 값을 그레이코드 3..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실기] 필수 주관식 정리 - 1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실기] 필수 주관식 정리 - 1 문제 답 1 두 독립적인 장치 사이의 비동기적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데이터가 전송될 시각을 알려줘야 하고, 전송 시각을 알리기 위해 두 장치 사이에는 제어 신호가 교환되야하는데, [A]와 [B] 방법이 있다. A: 스트로브 B: 핸드쉐이킹 2 제어장치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하는 [A]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B] 기법이 있다. A: 하드와이어드 제어장치 B: 마이크로프로그래밍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실기 필수 개념 목록] 교착상태 스트로브/핸드쉐이킹 하드와이어드/마이크로프로그래밍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그레이코드 누산기/ 가산기/ 반가산기 / 전가산기 구조 및 진리표 채우기 회로도 그리기 카르노 맵 패리티 비트 디코더 SC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