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의 저평가/고평가를 보여주는 여러가지 지표
PER이 높은 주식은 주가각 기업의 주당순이익보다 높게 평가되거나 미래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실제 PER = 실제주가/주당순이익 = 시가총액/순이익
정상 PER = (1-유보율=배당성향)*(1+성장률) / 자기자본비용 - 성장률
자기자본비용 계산법: 무위험 이자율 + (B * 시장 위험 프리미엄)
PER =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
PBR = 주가순자산비율(Price Book-value Ratio) = 실제주가/ 주당순자산 = PER * ROE
PSR = 주가매출액비율(Price Sales Ratio) = 실제주가/주당매출액 = PER * ROS
ROA = 당기순이익/총자산
ROI = 당기순이익/총자산(투자자본 = 총자산 - 영업외자산)
ROE = 당기순이익/자본총액 = 자기자본순이익률
ROS = 당기순이익/매출액
정상 PER은 배당성향, 성장률과는 비례하고 할인율(자기자본비용)과는 반비례한다.
지속가능성장률 = 유보율 * 자기자본순이익률
정상 PBR은 자기자본순이익률 및 PER과 비례관계
PSR이 낮은 주식은 기업가치가 저평가될 가능성이 있지만, 위험이 높고 이익률도 낮다고 볼 수 있다. (주가에 비해 매출액이 낮다는 것, 별로인 주식이다.)
EV/EBITDA = (Enterprise Value = 시가총액 + 순차입금) / EBITDA
(기업가치/영업활동 이익) 비율은 기업에 투자했을 때 몇 년만에 투자원금을 회수할 수 있는지를 알려준다.
경제적부가가치(EVA)는 회계적 이익이 가진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
EVA = (Economic value added: 경제적부가가치) : 한 회계기간 동안 얼마나 부가가치 창출, 자본비용 초과하는 투자 수익
EVA = 세후 순영업이익 - 자본비용(타인자본비용 + 자기자본비용)
EVA = (투자수익률 - 가중평균자본비용) * 투하자산 = (ROIC - WACC) * IC
EVA 산출 시 기업의 투하자본 = 총자산 - 비영업자산 - 비이자발생부채
당기순이익이 적자인 회사의 PER은 의미 없는 수치(분모가 0됨)이지만, PSR은 유의미한 수치
배당성향이 50%, 자기자본비용이 연 10%, 성장률이 3%인 회사의 정상 PER는 7.357
(50% * 103%)/(10%-3%) = 7.357
기업의 내부수익률(IRR) >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기업가치 증가함.
WACC = 투자를 통해 얻어야하는 최소한의 수익률
지수법분석은 윌에 의하여 최초 제시 분석법 = 가중비율총합법
레버리지도가 클수록 기업의 위험은 증가함
영업레버리지도(DOL)는 매출액의 변화율에 대한 영업이익의 변화율 나타냄
영업고정비가 존재하면 영업레버리지도(DOL)은 항상 1보다 크다.
영업레버리지도 = (매출액-변동비)/(매출액-변동비-고정비) = 영업이익변화율/매출액변화율
자본조달분기점에서는 총자본영업이익율 = 이자율
FBEP(자본조달분기점) = 자본구성비와 관계없이 주당이익률 동일하게 하는 영업이익 수준
FBEP = (N1*I2 - N2*I1)/(N1-N2)
N1,N2는 1안과 2안의 발행주식수, I1과 I2는 각각의 이자비용
자본조달분기점 초과 수준에서는 부채발행이 주당순이익에 유리하다.
영업레버리지가 3이면, 매출액 1% 증가시 영업이익률 3% 증가.
고정비의 비중이 클수록 영업레버리지효과는 크게 나타남.
매출액변화율~영업이익변화율 관계는 영업레버리지.
'금융·경제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개념 2-5] 영업활동현금흐름 등 현금흐름의 특징 feat. 현금수지분석표 (0) | 2021.06.16 |
---|---|
[회계개념 2-4] 손익분기점(BEP), FBEP, MS비율 의 특징 (0) | 2021.06.15 |
[회계개념 2-2] 여러가지 비율 2 (재고자산회전율, 1회전운전기간) (0) | 2021.06.13 |
[회계개념 2-1] 여러가지 비율 1 (유동비율, 당좌비율, 이자보상비율 등) (0) | 2021.06.12 |
[현금흐름분석 10] 투자활동 현금흐름의 정보 (0) | 2021.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