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경제 136

[신용분석사 필수 기출 2] 현금성자산과 예금분류

[답: 1번] (1번) 현금성자산은 큰 거래비용 없이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이자율 변동에 따른 가치변동의 위험이 '경미한' 금융상품으로서 취득 당시 만기일(또는 상환일)이 3개월 이내인 것을 말한다. -> 현금은 주식처럼 오르락내리락하지 않는다. (2번) 동일은행에서 당좌차월과 당좌예금은 서로 상계하지만, 서로 다른 은행일 경우 당좌차월과 당좌예금은 상계하지 아니한다. 당좌예금: 기업이 거래대금 지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예금 (은행에 기업 돈을 보관하고 거래할 때 사용) 당좌차월: 당좌예금의 잔액을 초과한 금액을 인출 (당좌예금이 300만 원 있었으나 500만 원 상품 구매하면 200만 원이 당좌차월) 상계: 쌍방(채권자와 채무자)으로 채무를 부담한 경우에 대등액을 소멸시킨다. (A가 B에게 10만..

[주식] ETF란? 추천 종목까지

주식 시장을 누비다 보면 ETF란 말을 정말 많이 듣게 됩니다. 초심자 분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설명해드릴게요! ETF ETF(Exchange Traded Fund)는 '주식들의 묶음인 펀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자산운용사들은 개인 투자자들을 더 유치하기 위해서 매력적인 '주식 묶음'을 내놓는 데, IT와 관련된 ETF(TIGER 200 IT - 미래에셋자산운용)을 예시로 들면 아래와 같이 투자하고 있습니다. (추천) 위의 표를 분석해보면, 만약 TIGER 200 IT를 39,630원 치 샀을 경우 그것의 22.43%인 8,889원은 SK하이닉스에 투자하고, 19.03%인 7,541원은 삼성SDI에 투자했다는 말이 되겠네요. 나머지는 표를 따라가면 됩니다. 이처럼 만약 IT가 미래에 유망할 것..

[금융감독원] DART-다트란?

금융감독원의 기업정보-전자공시시스템(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DART)은 한국의 거의 모든 기업들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된 주식회사부터 처음 들어본 회사까지의 경영 상태를 공시합니다. 자산총액이 120억 이상이거나, 종업원 수가 300명을 넘으면서 자산총액이 70억 이상인 법인 등(외부감사 의무법인)만 DART시스템에 경영공시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에 모든 기업의 정보를 볼 수 없지만, 웬만한 회사의 정보들은 다 있습니다. 따라서 주식 투자나 각종 투자를 할 때 손쉽게 그 기업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사업보고서, 분기보고서, 감사보고서를 참고하고 투자한다면 투자 성공률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 전망합니다. 다트..

[암호화폐] 비트코인의 정의와 전망

암호화폐란 암호화폐(暗號貨幣, Cryptocurrency)는 분산 장부(Distributed Ledger)에서 공개키 암호화를 통해 안전하게 전송하고, 해시 함수를 이용해 쉽게 소유권을 증명해 낼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이다. 일반적으로 암호화폐는 블록체인이나 DAG (Directed Acyclic Graph)를 기반으로 한 분산 원장(Distributed Ledger) 위에서 동작한다. IT 비전공자들에게 위 말은 암호나 다름 없을 것이다. 분산 장부? 공개키 암호화? 블록체인? 이를 일반인도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컴퓨터의 '비트코인'이라는 데이터 파일을 거래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파일을 주고 받을 때, 아래의 그림과 같이 '블록체인'에 그 파일 거래를 기록하고 데이터를 나눠 담는다. 동그랗게 생긴 사용..

[신용분석사 필수 기출 1] 기업회계기준 - 보수주의란?

[답: 4번] - C만 보수주의 회계처리 효과가 나타난다. A: 제거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거래를 매출채권에서 제거하였다. 이는 일반기업회계기준에 위배된다. B: 재고자산을 선입선출법(먼저 있던 재고를 먼저 판매)으로 평가하였는데, 후입선출법(나중에 들어온 재고를 먼저 판매)으로 평가하여야 보수주의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C: 감가상각을 정액법(일정한 비용을 차감) 대신 정률법(일정한 비율로 차감)으로 하면 보수주의 회계처리 효과가 나타난다. 예시) 50000원 텀블러 감가상각 5년 정액법 시 5000원 씩 감가 50000원 텀블러 감가상각 5년 정률법 시 45.1% 씩 감가 -> 22550원 감가 D: 연구비와 경상개발비는 항상 비용 처리이다. 따라서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보수주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주식] 코스피란? (코로나19 속 코스피)

빚투(빚을 내서 투자해라)라는 말이 유행어가 된 요즘,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정말 많아졌습니다. 물론 수익률이 높으면 좋지만, 주식 시장의 기본인 [한국의 코스피, 코스닥] [미국의 다우지수, 나스닥]은 꼭 알고 있으면 좋습니다. 세계 경제의 추세와 투자 적기를 알 수 있기 때문이죠. 대표적으로 코스피를 알면, 나머지 지수들을 대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코스피 코스피(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약어 :KOSPI) 또는 한국종합주가지수는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회사들의 주식에 대한 총합인 시가총액의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을 비교하여 나타낸 지표입니다. [코스피 지수 = (비교시점의 시가총액/기준시점의 시가총액) * 100 ] ※시가총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