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경제/[회계] 72

[현금흐름분석 3] 매입활동 현금유출액의 계산

[답: 4번] 현금주의 매입액 = -매출원가(매출의 이만큼은 원가로 썼었음) +매입채무 증가액(근데 외상으로 사서 돈을 아직 안 냈지롱) +선급금 감소액(미리 줄 돈도 줄었다!) -재고자산 증가액(재고자산이 증가한 만큼 현금이 빠졌겠죠) *참고: 매출채권과 선수금은 현금주의 매입액과 관련이 없다. 따라서 -6700 +800 + 250 -110 = -5760 5760원의 현금이 유출되었다.

[현금흐름분석 1] 현금의 유입과 유출이 없는 중요한 거래

[답: 5] 현금의 유입과 유출이 없는 중요한 거래. 다시 말해 돈이 왔다갔다 하지 않는 항목을 고르면 된다. 무형자산의 손상차손은 예를 들면 특허권의 가치가 떨어졌다... 뭐 이런건데 돈의 유출입은 없다. 그러나 중요한 거래이다. 따라서 답은 5번! 나머지 1, 2, 3, 4는 현금의 유입과 유출이 있다.

[재무분석 10] ROI의 개념

[답: 2번] ROI = 당기순이익/투자금액인데, 순이익은 주주에게 귀속되고, 투자금액은 주주와 채권자가 제공한 총자산이기 때문에 논리적 대응이 힘들다. 1. 자본수익성지표가 맞다. 3.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집약한 성과지표이다. 4. 총자본순이익률 또는 총자산순이익률이라고 한다. 5. 일정한 관계가 있다. ROE = 당기순이익/자기자본, ROA = 당기순이익/총자산, ROI = 당기순이익/(총자산-비영업용자산)

[재무분석 9] EBITDA의 개념과 계산

[답: 2] 이비따 이비따 EBITDA!는 정말 중요하다. 기업의 영업이익 지표를 한 눈에 딱 확인할 수 있다. EBITDA = Earnings Before (Interest + Taxes + Depreciation + Amortization) 즉 EBITDA는 이자비용, 법인세, 감가상각비와 감모상각비를 차감하기 전의 영업이익을 나타내는 지표다. 영업이익이 1% 증가 시 순이익의 변화를 물어보았으므로 재무레버리지(DFL)을 구해야 한다. 일단 EBIT을 구해보면, EBITDA(24억원) - DEP(4억원) = EBIT(20억원) 이자보상비 = EBIT/Interest (영업이익으로 이자 몇 번 줄 수 있냐?) = 20/Interest = 2 이므로 이자비용은 10억원이다. DFL = EBIT/(EBIT..

[재무분석 7]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변동률 feat. 레버리지

[답: 5번] 이자비용이 줄어들면 영업이익변동률보다 순이익변동률이 확대되는 효과가 줄어든다. 영업레버리지와 재무레버리지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문제다. 영업레버리지도 = (매출액-변동비)/(매출액-변동비-고정비) 인데, 고정비가 증가하여 영업레버리지도는 커지고 -> 공헌이익/영업이익 -> 영업레버리지도가 2면 매출이 10% 바뀔때 영업이익은 20% 바뀐다는 뜻이다. 재무레버리지도 = (매출액-변동비-고정비)/(매출액-변동비-고정비-이자비용)인데, 이자비용이 줄어들어 재무레버리지도는 작아졌다. -> 이때 이자비용은 돈을 빌린 것에 대해서 채권자들에게 주는 이자비용이다. -> 재무레버리지도가 2면 영업이익이 20% 바뀔때 당기순이익이 40% 바뀐다. 따라서 이자비용이 줄어들면, 재무레버리지도도 줄어들어서 영업이..

[재무분석 6] ROE, ROI, ROA의 개념과 특징

[답: 5번] 부채비율이 높으면(자기자본비율이 낮으면) ROI or ROA가 낮아도 레버리지 효과로 ROE는 높다. ROE(Return of Equity)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기업이 자본을 잘 활용하여 이익 창줄 잘하는지 지표, 수익성과 비례 -> 기업이 부채를 늘리면 수익이 떨어져도 자기자본대비 수익은 증가해서 ROE는 증가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ROI(Return on Investment) => 당기순이익 / 투자자본 -> ROA와 거의 동일한 개념, 투자자본(자기자본+부채)이기 때문 -> ROI에서 영업과 관련 없는 자산(운휴설비, 비영업용토지 등)은 제외되었기에, ROE, ROA와 차이 발생 -> ROE보다 ROI가 크다는 것은 영업 관련 없는 자산이 있다는 것 -> ROI 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