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343

[미국 급등주 니콜라] 주가 폭등 분석 by 미국회계공시 + 핫뉴스 feat 바이든

"니콜라 주가가 연일 상승하고 있다. 미국회계공시와 현 뉴스로 그 이유를 알아보자." 일단 미국회계공시 이해를 위해 두 가지 개념(EPS, PER)만 알고 갑시다. EPS란? EPS는 주당순이익(Earning Per Share)로, 기업이 1년 동안 번 순수익을 총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어 1년 동안 1000원을 벌고, 총 발행 주식 수가 100개라면, 주당순이익 EPS는 1000/100 = 10원일 것입니다. PER이란? PER(Price Earning Ratio)는 주가수익률로, 지금 주식 가격을 주당순이익(EPS)로 나눈 값입니다. 1주당 수익이 몇 배가 되는 가라는 말인데요, EPS가 10원인 기업의 현재 주가가 100원이라면, PER = 100/10 = 10이 됩니다. 따라서,..

신용분석사란? + 합격기준

신용분석사란? 금융기관의 여신관련 부서에서 기업에 대한 회계 및 비회계자료 분석을 통하여 종합적인 신용상황을 판단하고 신용등급을 결정하는 등, 기업신용 평가업무를 담당하는 금융전문가 + 한국금융연수원 국가공인금융자격증! 신용분석사 합격기준 아무도 문제 수와 합격 점수를 정리하지 않아 내가 함께 정리해보았으니 참고 바랍니다.

[현금흐름분석 1] 현금의 유입과 유출이 없는 중요한 거래

[답: 5] 현금의 유입과 유출이 없는 중요한 거래. 다시 말해 돈이 왔다갔다 하지 않는 항목을 고르면 된다. 무형자산의 손상차손은 예를 들면 특허권의 가치가 떨어졌다... 뭐 이런건데 돈의 유출입은 없다. 그러나 중요한 거래이다. 따라서 답은 5번! 나머지 1, 2, 3, 4는 현금의 유입과 유출이 있다.

[재무분석 10] ROI의 개념

[답: 2번] ROI = 당기순이익/투자금액인데, 순이익은 주주에게 귀속되고, 투자금액은 주주와 채권자가 제공한 총자산이기 때문에 논리적 대응이 힘들다. 1. 자본수익성지표가 맞다. 3.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집약한 성과지표이다. 4. 총자본순이익률 또는 총자산순이익률이라고 한다. 5. 일정한 관계가 있다. ROE = 당기순이익/자기자본, ROA = 당기순이익/총자산, ROI = 당기순이익/(총자산-비영업용자산)

[재무분석 9] EBITDA의 개념과 계산

[답: 2] 이비따 이비따 EBITDA!는 정말 중요하다. 기업의 영업이익 지표를 한 눈에 딱 확인할 수 있다. EBITDA = Earnings Before (Interest + Taxes + Depreciation + Amortization) 즉 EBITDA는 이자비용, 법인세, 감가상각비와 감모상각비를 차감하기 전의 영업이익을 나타내는 지표다. 영업이익이 1% 증가 시 순이익의 변화를 물어보았으므로 재무레버리지(DFL)을 구해야 한다. 일단 EBIT을 구해보면, EBITDA(24억원) - DEP(4억원) = EBIT(20억원) 이자보상비 = EBIT/Interest (영업이익으로 이자 몇 번 줄 수 있냐?) = 20/Interest = 2 이므로 이자비용은 10억원이다. DFL = EBIT/(EBIT..

[재무분석 7]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변동률 feat. 레버리지

[답: 5번] 이자비용이 줄어들면 영업이익변동률보다 순이익변동률이 확대되는 효과가 줄어든다. 영업레버리지와 재무레버리지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문제다. 영업레버리지도 = (매출액-변동비)/(매출액-변동비-고정비) 인데, 고정비가 증가하여 영업레버리지도는 커지고 -> 공헌이익/영업이익 -> 영업레버리지도가 2면 매출이 10% 바뀔때 영업이익은 20% 바뀐다는 뜻이다. 재무레버리지도 = (매출액-변동비-고정비)/(매출액-변동비-고정비-이자비용)인데, 이자비용이 줄어들어 재무레버리지도는 작아졌다. -> 이때 이자비용은 돈을 빌린 것에 대해서 채권자들에게 주는 이자비용이다. -> 재무레버리지도가 2면 영업이익이 20% 바뀔때 당기순이익이 40% 바뀐다. 따라서 이자비용이 줄어들면, 재무레버리지도도 줄어들어서 영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