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343

[신용분석사 필수 기출 12] 채권·채무 조정 시 대손충당금!

[답: 3번] 대손충당금 감소액 20,000원은 대손충당금환입이 아니라 이자수익으로 처리한다. 손익계산서상 이자수익은 700,000 * 10% = 70,000 이었으나 채권·채무 조정으로 현금은 1,000,000 * 5% = 50,000을 받게 되어 대손충당금 감소액 20,000이 발생한다. (2만 원을 덜 받음, 떼일 거라 예상한 돈에서 잔액 차감해야 함) 원래 300,000원을 떼일 것이라 생각하고 대손충당금으로 잡아놨으나 대손충당금이 20,000 감소하여 대손충당금 잔액이 300,000-20,000 = 280,000원이 되고, 장기대출채권의 장부금액은 1,000,000 - 280,000 = 720,000원이 된다. ※ 대손충당금 ※ [대손충당금]: 기말까지 미회수된 매출채권 중 회수가 불가능할 것으..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마이크로 연산

마이크로 연산 Major 상태 순서: [Fetch - Indirect - Execute - Interrupt] TMI(그냥 상식용으로 알자): [플립플롭 R, F상태에 따른 싸이클] Major 상태 플립플롭 상태 R 플립플롭 상태 F 1. 인출 사이클 (Fetch Cycle) 0 0 2. 간접 사이클 (Indirect Cycle) 0 1 3. 실행 사이클 (Excute Cycle) 1 0 4. 인터럽트 사이클 (Interrupt Cycle) 1 1 마이크로 연산 프로그램 카운터(PC) :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합니다.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MAR) : 읽기와 쓰기 연산을 수행할 주기억장치의 주소를 저장합니다.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MBR) : 주기억자치에서 읽어온 데이터나 주기억장치에 저장할..

[신용분석사 필수 기출 11] 채권·채무조정! - 빌린 건 갚아야지?

[답: 4] 원리금 감면은 채무변제가 아니라 조건변경의 유형에 해당한다. 1. 출자전환된 시장성이 없는 지분증권의 공정가치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없는 경우 채무자는 채무조정이익을 인식하지 않는다. 2. 변제대가가 채무의 장부금액보다 큰 경우는 채권·채무조정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 갑이 을에게 5억을 빚졌는데 갑의 10억짜리 아파트를 팔아서 변제하는 것은 채권·채무 '조정'이 아닐걸? 3. 자산이전의 경우 채무자는 채무의 장부금액과 자산의 공정가치의 차액을 채무조정이익으로 인식한다. ※ 채무의 장부금액 - 자산의 공정가치 = 채무조정이익 5. 조건변경의 경우 약정상 정해진 미래현금흐름을 채권·채무 발생 시의 유효이자율을 적용하여 할인한다. [출자전환]: 채권자인 금융기관이 채무자인 기업에게 빌려준 대..

[정보관리기술사 기출] 해쉬 알고리즘 feat. 전자서명

해쉬 알고리즘이란? 해쉬 알고리즘은 임의 길이의 정보를 입력받아 고정 길이의 암호문(해시값)을 출력하는 암호화 기술이다. 우리가 수학문제를 푼다고 생각해보자. f(x) = y = x^102 + x^23 + x^4 + x + 12 위 f(x)식에서, x에 값을 집어넣으면 y값을 계산하기 쉽지만, y가 무엇인지 안다고 해서 x를 구하기는 쉽지 않다. (아마 102개의 해가 있지 않을까?ㅋㅋ 모르면 문과) 해쉬 알고리즘은 이러한 개념을 활용한 암호화 기술이라 생각하면 된다. 해쉬 알고리즘은 아래 네가지 특성이 있다. 특성 설명 압축성 임의 길이의 문자열을 고정 길이의 문자열(해시값)으로 변환 역상저항성 f(x) = y인 x를 찾기 어려운 특성, 단방향 특성을 가짐 제2역상저항성 주어진 x에 대하여 f(x)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반감산기와 전감산기

이 글을 보기 전에 반가산기와 전가산기 글을 한번 보고 오는 것을 추천한다. 반감산기 [반감산기 진리표] 입력 출력 X Y B(borrow, 빌림 수) D(difference, 차이) 0 0 0 0 0 1 1 1 1 0 0 1 1 1 0 0 이번에는 말 그대로 빼는 것이다. X-Y를 생각할 때, 1-0은 차이가 1이고 빌림 수는 0이다. 0-1은 차이가 1이고 빌림 수도 1이다. 이것을 생각하면 진리표를 위와 같이 적을 수 있다. [반감산기 회로도] D = X⊕Y B = X'·Y 회로도는 반가산기에 작게 NOT게이트가 있다. X=0, Y =1일 때만 B=1이 되게 만든 구조라 생각하면 쉽다. 전감산기 [전감산기 진리표] CASE 입력 출력 1 X Y B0 B D 2 0 0 0 0 0 3 0 0 1 1 1..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반가산기와 전가산기

가산기란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 회로이며, 디지털 회로이다. 그냥 2진수의 덧셈을 위해 구현한 회로라고 생각하면 쉽다. 그런데 가산기는 반가산기와 전가산기로 나뉜다. 그 차이는, 반가산기는 전가산기의 '이전 단계'라고 생각하면 된다. 반가산기 Sum = A⊕B Carry = A·B 위 그림에서 A, B는 데이터 값이고 C는 Carry(자리 올림) S는 Sum(합)이다. A+B를 수행했을 때, 결과가 C와 S로 나온다. 예를 들어 보자. A=0, B=1 일때, 0+1이므로 합인 S는 1이고 자리 올림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C는 0이다. A=1, B=1 일때, 1+1=2가 되어 2진수에서 자리올림이 발생한다. 따라서 C는 1이고, S는 0이된다. A, B 가 모두 1일 때만 C가 1이되니 AND 게이트로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실기] 필수! 그레이코드와 2진코드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실기 빈출인 그레이코드에 대하여 알아보자. 10진수는 2진수(2진코드)와 그레이코드로 변환될 수 있다. 10진수 7 = 2진수 0111 = 그레이코드 = 0100 그레이코드 0100 = 2진수 0111= 10진수 7 10진수에서 그레이코드로 한 번에 바꿀 수는 없다. 중간에 2진수를 거쳐야 한다. 그 계산법을 알아보자. 2진코드(Binary Code) -> 그레이코드(Gray Code) INPUT: [2진코드] 자리번호 1 2 3 4 2진코드 0 1 1 0 2진코드 자리번호 1번은 그대로 그레이코드 1번에 적어준다 (0->0) 2진코드 자리번호 1번과 2번을 XOR한 값을 그레이코드 2번에 적어준다 (0 XOR 1 = 1) 2진코드 자리번호 2번과 3번을 XOR한 값을 그레이코드 3..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실기] 필수 주관식 정리 - 1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실기] 필수 주관식 정리 - 1 문제 답 1 두 독립적인 장치 사이의 비동기적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데이터가 전송될 시각을 알려줘야 하고, 전송 시각을 알리기 위해 두 장치 사이에는 제어 신호가 교환되야하는데, [A]와 [B] 방법이 있다. A: 스트로브 B: 핸드쉐이킹 2 제어장치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하는 [A]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B] 기법이 있다. A: 하드와이어드 제어장치 B: 마이크로프로그래밍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실기 필수 개념 목록] 교착상태 스트로브/핸드쉐이킹 하드와이어드/마이크로프로그래밍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그레이코드 누산기/ 가산기/ 반가산기 / 전가산기 구조 및 진리표 채우기 회로도 그리기 카르노 맵 패리티 비트 디코더 SCAN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실기] 필수! 교착상태(Deadlock)

교착상태 [교착상태(Deadlock) 발생 조건] 데드락은 아래 네 가지 조건을 모두 동시에 충족할 때 발생한다. IT인들에게 데드락은 드립?의 요소로도 활용된다. 발생 조건 의미 상호배제 (Mutual exclusion) 여러 프로세스들이 필요로 하는 하나의 자원에 대해 동시 접근 불가 점유대기 (Hold and wait) 프로세스가 할당된 자원을 가진 상태에서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자원을 기다림 비선점 (No preemption) 프로세스가 어떤 자원의 사용을 끝낼 때까지 그 자원을 강제로 가져올수 없음 순환대기 (Circular wait) 각 프로세스는 순환적으로 다음 프로세스가 요구하는 자원을 가지고 있음 [교착상태(Deadlock) 해결 방법] 해결은 아래 네 가지 조건으로 가능하다. 해결 ..

[신용분석사-회계]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의 작성

대차대조표의 정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는 재무제표로서 특정 시점의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자원(자산), 그 경제적 자원에 대한 의무(부채) 및 소유주지분(자본)의 잔액을 보고한다. (자산 = 부채 + 자본) - 이건 정말 기본... 대차대조표로 기업의 '재무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기업에 관한 투자에 필수적인 정보이다. ※ 대차대조표의 차변에는 자산을, 대변에는 부채+자본을 기입한다. 자산: 자금의 운용 방식 부채+자본: 자산을 조달 방식에 따라 나눈 것 대차대조표 작성 예시 예시로 대차대조표 작성법을 확인해보자. 여러분은 현재 PC방을 경영하고자 한다. 영업 현황 1. 현금을 1000만원 가지고 영업을 시작 2. 비품(PC 등)을 100만원에 현금으로 구입 3. 상품(100번째 PC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