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343

[데이터 3법] 마이데이터와 데이터 3법

마이데이터란? 마이데이터는 '나의 데이터'로, 데이터 3법을 통해 개념이 정립되었습니다. 즉, '내 데이터에 대한 권리'라는 개념이 확립된 것입니다. 이전 금융권에서는 각 금융사(ex. 국민은행, 우리은행 등)에 흩어져 있는 정보들을 한 곳에서 모아서 볼 수 없었고, 알맞은 금융상품을 찾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했습니다. 그러나 마이데이터가 도입되면서, 개인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은 제3자(금융기업 등)이 개인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알맞은 상품을 추천하거나, 소비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마이데이터 사업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마이데이터 사업의 장점] 나의 자산 상태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고 그것에 대한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맞춤형 금융상품이나 효율적인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개념! CISC/RISC

시험에 빈출 되는 CISC와 RISC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CISC가 기존의 프로세서라면, RISC는 CISC의 한계성을 극복하고자 제안된 새로운 프로세서의 구조입니다. 이때 '명령어'가 CISC와 RISC 차이의 중심입니다. CISC는 복잡한 명령어를 탑재하였기에 명령어의 길이가 가변적입니다. RISC는 처리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고정된 길이의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복잡한 식은 보유 명령어를 조합합니다. CISC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RISC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개념 복잡한 명령어 셋을 가지는 CPU구조로, 다양한 주소 모드와 명령어를 가진다. 유연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CISC보다 CPU의 명령어 개수를 줄여 하..

[주식] ETF란? 추천 종목까지

주식 시장을 누비다 보면 ETF란 말을 정말 많이 듣게 됩니다. 초심자 분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설명해드릴게요! ETF ETF(Exchange Traded Fund)는 '주식들의 묶음인 펀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자산운용사들은 개인 투자자들을 더 유치하기 위해서 매력적인 '주식 묶음'을 내놓는 데, IT와 관련된 ETF(TIGER 200 IT - 미래에셋자산운용)을 예시로 들면 아래와 같이 투자하고 있습니다. (추천) 위의 표를 분석해보면, 만약 TIGER 200 IT를 39,630원 치 샀을 경우 그것의 22.43%인 8,889원은 SK하이닉스에 투자하고, 19.03%인 7,541원은 삼성SDI에 투자했다는 말이 되겠네요. 나머지는 표를 따라가면 됩니다. 이처럼 만약 IT가 미래에 유망할 것..

[금융감독원] DART-다트란?

금융감독원의 기업정보-전자공시시스템(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DART)은 한국의 거의 모든 기업들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된 주식회사부터 처음 들어본 회사까지의 경영 상태를 공시합니다. 자산총액이 120억 이상이거나, 종업원 수가 300명을 넘으면서 자산총액이 70억 이상인 법인 등(외부감사 의무법인)만 DART시스템에 경영공시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에 모든 기업의 정보를 볼 수 없지만, 웬만한 회사의 정보들은 다 있습니다. 따라서 주식 투자나 각종 투자를 할 때 손쉽게 그 기업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사업보고서, 분기보고서, 감사보고서를 참고하고 투자한다면 투자 성공률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 전망합니다. 다트..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카르노맵(카노맵) 정의와 계산

카르노맵(카노맵)이란? 카르노맵(카노맵)은 논리 회로 용어로, 불 대수 위의 함수를 단순화하는 방법입니다. 카르노맵을 왜 써야 할까요? 장점을 알아봅시다. 논리식을 간소화할 수 있다. 논리식을 간소화했기에 회로의 게이트 수, 전선의 수를 줄여서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당신이 비전공자라면? '2+2+2+2+2 = 10'을 '2 * 5=10'으로 바꿔줘서 전선을 5개에서 1개로 줄여준다는 말이라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카르노맵은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에서 2문제 정도, 약 10%를 차지하는 필수적인 문제입니다. 계산법을 필히 알아두여야 합니다! 빈출 되는 예제를 통하여 알아봅시다. 카르노맵의 구조 일단 4 변수 (A, B, C, D)가 있을 때 카르노 맵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요한 것은..

[암호화폐] 비트코인의 정의와 전망

암호화폐란 암호화폐(暗號貨幣, Cryptocurrency)는 분산 장부(Distributed Ledger)에서 공개키 암호화를 통해 안전하게 전송하고, 해시 함수를 이용해 쉽게 소유권을 증명해 낼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이다. 일반적으로 암호화폐는 블록체인이나 DAG (Directed Acyclic Graph)를 기반으로 한 분산 원장(Distributed Ledger) 위에서 동작한다. IT 비전공자들에게 위 말은 암호나 다름 없을 것이다. 분산 장부? 공개키 암호화? 블록체인? 이를 일반인도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컴퓨터의 '비트코인'이라는 데이터 파일을 거래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파일을 주고 받을 때, 아래의 그림과 같이 '블록체인'에 그 파일 거래를 기록하고 데이터를 나눠 담는다. 동그랗게 생긴 사용..

[신용분석사 필수 기출 1] 기업회계기준 - 보수주의란?

[답: 4번] - C만 보수주의 회계처리 효과가 나타난다. A: 제거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거래를 매출채권에서 제거하였다. 이는 일반기업회계기준에 위배된다. B: 재고자산을 선입선출법(먼저 있던 재고를 먼저 판매)으로 평가하였는데, 후입선출법(나중에 들어온 재고를 먼저 판매)으로 평가하여야 보수주의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C: 감가상각을 정액법(일정한 비용을 차감) 대신 정률법(일정한 비율로 차감)으로 하면 보수주의 회계처리 효과가 나타난다. 예시) 50000원 텀블러 감가상각 5년 정액법 시 5000원 씩 감가 50000원 텀블러 감가상각 5년 정률법 시 45.1% 씩 감가 -> 22550원 감가 D: 연구비와 경상개발비는 항상 비용 처리이다. 따라서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보수주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수! 코딩 문제 기출 정리 - 1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는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과 시스템 운용을 위한 응용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구성에 따른 효율적인 전산 시스템을 설치, 운영하고 전자계산기 시스템을 유지, 보수하는 능력을 평가하여 부여하는 국가기술자격 중 기사 자격이다. 2019년 하반기 부터 실기시험이 필답형으로 100% 바뀌어 변형된 기출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아래는 코딩 문제 기출 정리 1세트이다.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실기 코딩문제 1세트 번호 문제 답 1 z의 출력 값은? int x = 1; int y = 7; int z; z = x & y; printf("%d", z); 풀이: x = 1 = 001(2) y = 7 = 111(2) 001 & 111 = 001 (AND 연산을 활용한다) z = 1 답: 1 아래 표를 확인..

[타다 금지법] 총정리 + 우버(Uber)

IT의 발달이 서비스의 상품화(Servitization)를 이끌고 나아가 산업의 흐름이 바뀌면서, 스타트업의 창업자가 되어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은 '아이디어'만 뛰어나면 모든 것을 극복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각 국가, 단체, 사람들 사이의 이해관계를 관리하는 각종 규제와 법은 '아이디어'만 가지고는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을 잘 보여줍니다. 대표적인 케이스 중 하나는 타다 금지법입니다. 이를 총정리하며 알아보겠습니다. 타다 금지법의 발단 '타다'는 기존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의 '예외 조항'을 활용한 '11인승 렌터카 활용 공유 택시 서비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IT 플랫폼의 발전으로 택시 서비스를 사용자끼리 공유하여 더욱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게 했죠. 기존 택시의 비용, 여러 가지 불편한 이슈를 생각..

[정보처리기사] 3일 만에 합격!

정보처리기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한국산업인력공단 시행]의 국가공인자격증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자격증입니다. 3일 만에 합격한 후기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기출문제를 먼저 아무것도 모르는 비전공자라도 무조건 기출문제 1세트는 먼저 풀고 나서 공부를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크리스마스 나무 같은 '트리' 구조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결정하는 구조 중에 하나입니다. 정보처리기사의 많은 문제들이 이 구조를 기반으로 문제를 많이 냅니다. 하지만 문제집에서는 이 구조는 다른 구조들 중 하나로만 설명해서, 중요성을 알기가 쉽지 않습니다. 기출문제를 풀어보고 이러한 구조가 문제에 빈출 된다는 것을 알고서 공부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많은 개념 중 '무조건' 시험에 나오는 개념은 약 30%라..